반응형 파이어존의 경제적 독립기451 캐나다 컬리지 성적 잘 받는 팁 모두 공개 (+프로그래밍) 제가 이제 캐나다 컬리지 졸업을 했기 때문에 성적 잘 받는 법을 아낌없이 공유합니다. 저는 한 번도 코스 히어로(CourseHero, 한국으로 생각하면 해피캠퍼스)를 이용하지 않고 학점을 잘 받아왔습니다. 학교도 계속 컨닝을 막는 방법을 계속 계발하고 있고 제가 썼던 일부 프로그램도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이곳저곳 소문내지 말고 사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구글 검색 가장 자주했던 것은 구글 검색이 있습니다. 챗GPT가 나오기 전에는 구글 검색을 많이 사용했는데 챗GPT가 나오고 나서는 사용 횟수가 확 줄었습니다. ▶ 그래머리 (Grammarly) 그래머리(Grammarly)도 에세이 쓸 때 많이 사용했습니다. 간단한 문법을 고쳐주기도 하고, 더 매끄러운 문장을 만들어줘서 자주 사용했었습니다. 그래머.. 2023. 9. 6. [캐나다 개발자] #4. 성장통이겠지? 일을 시작하고 약 1달이 지나는 시점에서 드디어 업무에 투입되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코드를 유지보수 하는 것을 맡게 되었습니다. 작은 부분을 살짝씩 고쳐보고 있습니다. 일을 하다보면 급한 일이 터지기도 하고 회의에서 아직도 모르는 용어가 이곳 저곳에서 나오는데, 열심히 하고 싶어도 모르는 분이 많아서 답답하기도 합니다. 신입이고 프로젝트 중간에 투입된 것이니까 모르는 것이 당연한 것이고 성장통일거라 생각하며 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보곤 합니다. 다행히 시간을 다투는 급한 문제는 시니어 개발자님께서 처리해주시고, 저는 조금 시간적 여유가 있는 업무들이 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마저도 익숙치 않아 일을 처리하는 속도가 느리다보니 일들이 점점 쌓.. 2023. 9. 4. 캐나다 컬리지 공식 성적표 및 졸업 레터 발급 ※ 서류 발급 방법은 세네카 컬리지(Seneca College)에만 해당되는 이야기입니다. 세네카 컬리지를 무사히 졸업했습니다. 마지막 성적이 나오고 졸업이 확정되면 학생 비자로는 일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저는 지금 회사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일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려면 졸업 후 워크 퍼밋(PGWP, Post-Graduation Work Permit)을 신청해야 합니다. 최대한 공백 없이 일하고 싶어서 졸업하는 동시에 워크 퍼밋을 바로 신청해야 했습니다. 졸업 후 워크 퍼밋(PGWP)을 신청하기 위해 꼭 필요한 서류중에 학교 공식 성적표(Official Transcript)와 졸업 레터(Graduation Letter)가 있었습니다. 2가지 서류 모두 성적이 나오는 날 발급할 수 있는데, 처리 .. 2023. 9. 1. 캐나다 컬리지 4학기 최종 성적 발표 (feat. 성적표) 4학기 최종 성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저는 전체 GPA가 4.0인데 취업에는 크게 상관이 없지만 좋은 성적으로 졸업하여 기분은 좋습니다. 이번 학기는 다른 학기에 비해 노력도 덜했는데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점수를 잘 주는 교수님을 만나서 인 것 같습니다. 여름 학기는 수업 자체가 별로 없어서 ratemyprofessors.com을 참고했지만 만족스러운 선택은 아니었는데 결과적으로는 좋게 마무리되었습니다. 해당 과목에서 어떤 것을 배우는 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과목별 후기는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 함께 읽으면 좋아요. 캐나다 컬리지 프로그래밍학과 4학기 과목 정리 및 점검 캐나다 컬리지 프로그래밍학과 3학기 과목 정리 및 점검 캐나다 컬리지 프로그래밍학과 2학기 과목 정리 및 점.. 2023. 8. 30. [캐나다 컬리지] 컬리지 일기 총정리 저번주로 졸업이 확정되었습니다. 회사 적응, 기말고사, PGWP신청 등으로 바빠서 주신 메일에 답변을 드리지 못했습니다. 차근차근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캐나다 컬리지 일기를 마무리하면서 총 1~4학기 목차를 정리하였습니다. ▶ 1학기 캐나다 컬리지 1학기 1주차: 과제와 퀴즈가 쏟아진다. 캐나다 컬리지 1학기 2주차: 컬리지만으로는 취업이 힘들 수 있다. 캐나다 컬리지 1학기 3주차: 익숙해진다. 캐나다 컬리지 1학기 4주차: 수업 & 과제가 어려워진다.(feat. 조별과제) 캐나다 컬리지 1학기 5주차: 과제/퀴즈의 성적 반영 비율이 높아진다.(feat. 퀴즈) 캐나다 컬리지 1학기 6주차: 중간고사가 한 주 앞으로(feat. 프레젠테이션) 캐나다 컬리지 1학기 7주차: 정신없는 첫 중간고사(fea.. 2023. 8. 28. 캐나다 컬리지 프로그래밍학과 4학기 과목 정리 및 점검 ※ 해당 글은 제 주관적인 의견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4학기에 2과목을 수강하였습니다. 세네카 컬리지 프로그래밍 학과의 4학기에 반드시 들어야 하는 필수과목을 들었습니다. BCI는 저번 학기 야간 수업으로 들었는데, 과목 정리를 따로 하지 않은 것 같아 이곳에 추가하였습니다. ▶ DSA456 파이썬을 활용해서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수업입니다. 정렬 알고리즘, 트리, 그래프, 해시 등 다양한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해 배웁니다. 파이썬으로 코드는 짜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파이썬이라는 언어를 배우는 과목이 아니라 과제를 할 때에는 언어에 대해 찾아보면서 작성했습니다. 코딩보다는 개념에 더 초점을 두고 있는 수업이었습니다. 매주 과제가 있었고, 중간고사 및 기.. 2023. 8. 25. [캐나다 개발자] #3. 레벨이 다른 실제 프로그램 개발 개발자로 근무하면서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빠르게 처리되는 지에 대한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달라진 부분입니다. 이전 학교에서 나오는 과제들은 테스트 케이스들도 많지 않고 데이터들도 적으니 금방금방 하던 것들이 실제 업무에서는 많은 양을 처리해야 해서 효율성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또 코업과 달리 업무를 대하는 무게도 조금 다릅니다. 매니저님 혹은 시니어 개발자님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저는 한참 고민하던 문제에 대해 너무 쉽게 금방 해결책을 알려 주셔서, 정말 많이 배워야 하는 구나 반성을 하고 있습니다. 아직 할 수 있는 업무들이 많지 않아 한 사람 몫을 하지 못하는 것 같아 고민이 되는 시기였습니다. 수습기간(Probation) 잘 넘겨야할 텐데요. 또 제가 생각치 못했던 부분은.. 2023. 8. 23. 캐나다 컬리지 4학기 14주차: 마지막 학기 끝. 이번주 마지막 남은 야간 수업 과목 기말고사를 봤습니다. 중간 고사와 비슷하게 과제 형식으로 교수님께서 시험을 오픈하고 나서 약 24시간이 주어졌고, 시험 답변을 작성하여 제출해야 했습니다. 처음 공지를 할 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약 12시간 열어두겠다고 하셔서 오전 9시에 들어갔는데 시험이 열려 있지 않았습니다. 교수님께 연락해보니 기술적 문제(technical issue)가 있다고 해서 기다리다 결국 오후 2시에 시험이 열렸습니다. 그래서 제출 기한도 다음날 2시까지로 연장해주셔서 더 여유있게 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다음날까지 걱정하고 싶지 않아서 후다닥 업무를 마치고 시험 답변을 작성해서 그 날 제출했습니다. ▶ 학기별 14주차 학기(과목수) 1학기(4) 2학기(5) 3학기(4) 4학.. 2023. 8. 21. 캐나다 컬리지 1~4학기 시간표 공개 제가 짰던 시간표를 공유해주면 좋을 것 같다고 하셔서 1학기부터 4학기까지의 시간표를 공유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일주일에 하루 공강하는 주4를 선호해서 아래와 같이 짰습니다. 1학기 | 전공 4과목 1학기에 들어야 하는 전공과목 4과목을 들었고 금요일 공강을 만들었습니다. 제가 하고 싶은 교수님들이 대부분 아침에 배치되어 있어서 아침 수업이 많았습니다. 이 때는 모두 온라인 수업이어서 8시 수업이어도 괜찮았습니다. 아침수업을 끝내고 나면 오후 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서 좋았고, 금요일 공강이라 주말을 더 길게 보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2학기 | 전공 5과목 2학기에 들어야 하는 전공과목 4과목과 3학기 전공과목을 하나 당겨서 총 5과목 들었고 화요일 공강을 만들었습니다. 괜찮은 교수님들을 고르다.. 2023. 8. 18. 캐나다 컬리지 4학기 13주차: 기말고사 기말고사 시험을 봤습니다. 이번에도 중간고사와 같이 교실에서 시험을 보는 인펄슨(in person)시험이었고, 약 1시간 50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객관식 문제(40분), 단답식 문제(30분), 서술형 문제(40분)가 각각 1세션으로 총 3 세션이었습니다. 객관식은 4지선다형이었고, 단답식 문제는 1문단 정도 써야 하는 문제가 4문제, 서술형 문제는 한 문제였는데 답변을 3문단 정도 써야 했습니다. 주관식 문제는 항상 어렵고 부담되는데, 다시 생각해보면 교수님께서 점수를 주기 위해 만든 것일 수도 있습니다. 객관식 문제는 잘못한 경우 교수님께서 점수를 주고 싶다고 해도 줄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주관식은 채점 기준은 있겠지만 교수님께서 주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약간 점수를 더 주려는 전략일 수도 있습.. 2023. 8. 16.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6 다음 반응형